본문 바로가기
IT/읽어보기

RDMA란? +RDMA의 역사

by ccclog 2023. 12. 12.
반응형

RDMA(원격 직접 메모리 액세스)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 기술은 전통적인 네트워크 통신 방식과는 다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CPU의 개입 없이 메모리 간 직접 액세스를 가능케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른 네트워크 통신 방식에서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CPU가 개입되어 데이터를 복사하고 처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RDMA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어댑터가 데이터를 직접 메모리에 읽거나 쓰는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데이터 복사 및 CPU 개입을 최소화하고 전송 속도를 향상시킵니다.

RDMA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저지연 및 고대역폭: RDMA는 데이터 전송 시 CPU 개입이 없으므로 전송 지연이 낮아집니다. 또한, 고대역폭을 활용하여 높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최소한의 CPU 사용: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계산이 네트워크 어댑터에서 이루어지므로 CPU는 주로 응용 프로그램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3. 메모리 보호 및 보안: RDMA는 메모리 영역을 보호하고, 데이터 전송이 암호화되어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4. 클러스터 및 분산 컴퓨팅: RDMA는 대규모 클러스터 및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RDMA는 InfiniBand, iWARP, RoCE(RDMA over Converged Ethernet)와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RDMA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비와 어댑터를 필요로 합니다. RDMA는 주로 고성능 컴퓨팅, 대규모 데이터 중심 응용프로그램,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서 사용되며, 성능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환경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RDMA(원격 직접 메모리 액세스)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로, 다양한 발전 단계와 표준을 거쳐 현재의 형태로 발전해왔습니다.

  1. 1980년대 중반: RDMA의 초기 형태는 간단한 형태의 Remote DMA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메모리 카드에 의해 지원되는 메모리 복사 연산이 원격 시스템에서 실행되었습니다.
  2. 1990년대: InfiniBand 표준이 개발되면서 RDMA의 발전이 가속화되었습니다. InfiniBand는 초기에 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RDMA를 지원하여 저지연 및 고대역폭 특성을 가진 네트워크를 제공했습니다.
  3. 2000년대 초반: iWARP(iSCSI RDMA over TCP)가 등장하여 이더넷을 통한 RDMA 지원이 시작되었습니다. iWARP는 이더넷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RDMA의 이점을 살려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4. 2000년대 중반: RoCE(RDMA over Converged Ethernet)가 등장했습니다. RoCE는 이더넷 위에서 InfiniBand와 유사한 RDMA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센터에서의 적용을 촉진했습니다.
  5. 현재: RDMA는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컴퓨팅, 대규모 병렬 컴퓨팅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InfiniBand, iWARP, RoCE 등의 프로토콜은 각각의 특징과 적용 분야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고성능 컴퓨팅, 대규모 데이터 분석, 머신 러닝 등과 같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RDMA 기술은 현재의 높은 성능 및 효율성을 갖춘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당 정보는 ChatGPT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IT > 읽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fka란?  (0) 2023.12.20
SAN이란?  (0) 2023.12.19
바이너리 파일.  (0) 2023.11.16
ACS란?  (0) 2023.11.13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IT인프라 정복하기! #2편/시청 후 노트  (1) 2023.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