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inux3

find 명령어 find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토리를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매우 강력한 도구입니다. 다양한 옵션을 통해 파일의 이름, 크기, 수정 시간, 유형 등을 기준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find 명령어의 주요 사용법과 옵션을 정리했습니다.기본 문법find [경로] [검색 조건] [연산]주요 옵션 및 예제특정 디렉토리에서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 찾기find /path/to/directory특정 이름의 파일 찾기find /home/user -name "test.txt"find /path/to/directory -name "filename"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이름 검색find /home/user -iname "test.txt"find /path/to/directory -iname "filename"특정 .. 2024. 6. 13.
Parted를 통한 HDD 추가 mount 보통 parted 명령어를 통해 파티션까지 잡는 방법은 확인이 가능하나, HDD mount까지의 과정에 대해서는 블로그글들에서는 확인이 되지 않아 정리해봅니다. #추가할 디스크를 장착합니다. #초기상태 확인 >>fdisk -l >>df -h 장착된 디스크는 fdisk -l 에서 확인되나 , df -h에서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Parted 작업 >>parted /dev/sdb //parted 편집 진행. >>mklabel // 형식지정 gpt Label type?-> gpt >>mkpart //파티션 작성 partition name? -> 별도의 지정 필요없으면 공란가능 File system type -> 필요에 따른 파일시스템 타입 Start -> 0% End? -> 50% //디스크의 절반만 사용. .. 2023. 4. 8.
LINUX 부팅시, Run level 변경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 ////runlevel 3 : GUI X, CLI 환경사용. *LINUX 사용시, GUI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일 때, GUI 없는 CLI, runlevel 3로 고정할 수 있다. Ubuntu의 경우 18.04부터 카드출력이 아닌 온보드 VGA 출력의 경우, 비디오 램부족으로 인해, 화면 끊킴이 발생한다. CLI로 처음 접속했을때, 카드출력이 아닌 경우 다음과 같은 옵션을 이용한 뒤 셋업한다.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runlevel 5 : GUI 환경 사용. *일반적인 runlevel (초기값) 2022. 10.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