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49 일반 Ubuntu와 Ubuntu Live의 차이점. Ubuntu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식으로 제공됩니다: 일반 Ubuntu와 Ubuntu Live입니다. 이 두 가지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1. 일반 Ubuntu (Installed Ubuntu)설치 필요: 일반 Ubuntu는 하드 드라이브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설치 과정을 거쳐야 하며, 설치가 완료되면 컴퓨터를 재부팅하여 Ubuntu를 사용합니다.영구적 변화: 시스템 설정, 설치된 소프트웨어, 사용자 데이터 등이 영구적으로 저장됩니다. 사용자 환경과 데이터가 재부팅 후에도 유지됩니다.성능 최적화: 설치된 상태에서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이 최적화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2. Ubuntu Live (Live Ubuntu)설치 불필요: Ubuntu Live는 USB 드라이브, DVD.. 2024. 8. 11. Ubuntu 22.04.4: SSH 사용불가. OS(Ubuntu 22.04.4 server) 설치간 openssh-server(apt로 설치 X)를 설치한 상황에서ssh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 >> systemctl status sshdFail 확인>> systemctl status sshFail 확인. 다음 에러 문구 확인. ssh.service start request repeated too quickly. >> systemctl restart ssh>> systemctl restart sshd: 상태 변화 없음 >> apt purge openssh-server>> apt autoremove>> init 6///재설치를 위해서 제거 및 재부팅 >> apt install openssh-server>> systemctl status sshd>> .. 2024. 8. 10. Load Average가 100이 넘어갈 때, https://github.com/pjhwa/linux-engineers/wiki HomeContribute to pjhwa/linux-engineer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Github에서 본 질문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서버의 Load Average가 갑자기 100 이상으로 급증하면 이는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려 매우 비정상적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여러 가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대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1. CPU 과부하현상:CPU 사용량이 100%에 도달하고, 시스템 응답이 지연되거나 아예 응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모든 프로세스가 느려지며, 특히 CPU .. 2024. 7. 30. DAS와 NAS 그리고 SAN https://github.com/pjhwa/linux-engineers/wiki HomeContribute to pjhwa/linux-engineer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Github에서 본 질문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DAS (Direct-Attached Storage), NAS (Network-Attached Storage), 그리고 SAN (Storage Area Network)는 모두 데이터 저장 장치의 유형이지만, 그들의 구조, 사용 사례, 연결 방식에 따라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1. DAS (Direct-Attached Storage)정의: DAS는 서버나 컴퓨터에 직접 연결된 저장 장치입니다. 일반적으로 USB.. 2024. 7. 29. FUSE와 전통적인 파일시스템의 차이는? https://github.com/pjhwa/linux-engineers/wiki HomeContribute to pjhwa/linux-engineer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Github에서 본 질문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FUSE(Filesystem in Userspace)와 커널 공간에서 운영되는 전통적인 파일시스템 간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성능 차이를 제외하고라도 FUSE가 쓸만한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 방식의 특성과 용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FUSE와 전통적인 파일시스템의 차이점운영 위치FUSE: 사용자 공간(User Space)에서 파일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즉, .. 2024. 7. 28. SSH란? 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에 원격으로 접속하고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보안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암호화되지 않은 텔넷(Telnet) 등의 원격 접속 방식보다 많이 사용됩니다. SSH를 사용하면 데이터가 암호화되기 때문에 도청이나 데이터 변조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SSH의 주요 특징보안성:암호화: SSH는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일반적으로 AES, DES, 3DES 등의 알고리즘이 사용됩니다.인증: SSH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암호, 공개 키, 인증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터미널 접속:SSH를 통해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스템 관리 및 개발 .. 2024. 7. 22. 이전 1 2 3 4 5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