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63

SRE란?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원칙을 사용하여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접근 방식을 의미합니다. 구글에서 시작된 이 개념은 DevOps와 유사하지만, 엔지니어링과 운영을 통합하고 자동화와 효율성에 중점을 둡니다. SRE의 주요 목표는 시스템의 가용성, 성능, 모니터링, 사고 대응 등을 개선하는 것입니다.SRE의 주요 원칙과 개념서비스 수준 목표 (SLO) 및 서비스 수준 지표 (SLI):SLO: 서비스가 만족해야 하는 성능과 가용성 목표를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의 가용성은 99.9% 이상이어야 한다"는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SLI: SLO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응답 시간, 오류율, 가용.. 2024. 7. 7.
APM이란?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은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의 약자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가용성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와 도구를 의미합니다. APM의 목표는 애플리케이션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며, 문제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해결하는 것입니다.APM의 주요 구성 요소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성능 지표 수집: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성능 지표(예: 응답 시간, 처리량, 오류율 등)를 실시간으로 수집합니다.사용자 경험 모니터링: 실제 사용자 경험(Real User Monitoring, RUM)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능 문제를 파악합니다.트랜잭션 추적:애플리케이션 내의 각 트랜잭션이나 요청이 .. 2024. 7. 6.
시스템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로드맵 시스템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로드맵은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관련 경력을 쌓아가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아래는 시스템 엔지니어로 성장하기 위한 단계별 가이드입니다.1. 기초 지식 습득컴퓨터 과학 및 IT 기초:컴퓨터 과학, 정보 기술 또는 관련 전공으로 학사 학위를 취득합니다.운영 체제, 네트워킹,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등의 기본 개념을 학습합니다.2. 기본 기술 습득운영 체제:Windows, Linux/Unix 등의 주요 운영 체제를 깊이 있게 이해합니다.시스템 관리, 사용자 관리, 파일 시스템, 네트워크 설정 등 실습.네트워킹:TCP/IP, DNS, DHCP, 라우팅, 스위칭 등의 네트워크 기본 지식 습득.네트워크 구성 및 문제 해결 능력 배양.프로그래밍 및 스크립팅:Python.. 2024. 7. 5.
SEO란?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검색 엔진 최적화를 의미하며, 웹사이트나 웹 페이지가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에서 높은 순위에 오르도록 하는 다양한 전략과 기법을 포함합니다. SEO의 목적은 검색 엔진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사이트의 가시성을 높이고, 유기적인(광고가 아닌) 트래픽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SEO의 주요 요소키워드 연구(Keyword Research):정의: 사람들이 검색 엔진에서 입력하는 검색어(키워드)를 연구하고, 이를 웹 콘텐츠에 적절히 포함시키는 과정입니다.도구: Google Keyword Planner, Ahrefs, SEMrush 등.온페이지 SEO(On-Page SEO):정의: 웹사이트 내부에서 최적화하는 요소들입니다.. 2024. 7. 2.
클라우드 엔지니어와 DevOps 엔지니어의 차이점 클라우드 엔지니어와 DevOps 엔지니어는 모두 현대 IT 인프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그들의 초점과 주요 책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각 역할의 차이점을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클라우드 엔지니어역할 및 책임:클라우드 인프라 설계 및 구현: 클라우드 플랫폼(AWS, Azure, Google Cloud 등)에서 인프라를 설계하고 구현합니다.자원 관리: 가상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클라우드 자원을 관리합니다.자동화: 인프라 자동화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배포 및 관리 작업을 자동화합니다 (예: Terraform, CloudFormation).모니터링 및 최적화: 클라우드 리소스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합니다.보안: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 설정을 관리하고 유지합니다.비용 관리: 클라우드 서.. 2024. 6. 28.
YAML이란? YAML(YAML Ain't Markup Language)은 사람이 읽기 쉽고 작성하기 쉬운 데이터 직렬화 형식입니다. 주로 설정 파일이나 데이터 교환 포맷으로 많이 사용되며, 특히 DevOps와 클라우드 환경에서 널리 쓰입니다. YAML은 들여쓰기를 사용하여 데이터 계층 구조를 표현하며, JSON과 비교하여 더 간결하고 가독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YAML의 주요 특징가독성:YAML은 사람이 읽기 쉽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들여쓰기를 통해 데이터 구조를 표현합니다.간결함:중괄호나 대괄호 대신 들여쓰기를 사용하여 데이터 계층 구조를 나타내므로, 더 간결하고 명확합니다.유연성:배열, 리스트, 해시맵, 스칼라 값 등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지원합니다.호환성:YAML은 JSON과 호환됩니다. JSON은 .. 2024.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