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49 Parted를 통한 HDD 추가 mount 보통 parted 명령어를 통해 파티션까지 잡는 방법은 확인이 가능하나, HDD mount까지의 과정에 대해서는 블로그글들에서는 확인이 되지 않아 정리해봅니다. #추가할 디스크를 장착합니다. #초기상태 확인 >>fdisk -l >>df -h 장착된 디스크는 fdisk -l 에서 확인되나 , df -h에서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Parted 작업 >>parted /dev/sdb //parted 편집 진행. >>mklabel // 형식지정 gpt Label type?-> gpt >>mkpart //파티션 작성 partition name? -> 별도의 지정 필요없으면 공란가능 File system type -> 필요에 따른 파일시스템 타입 Start -> 0% End? -> 50% //디스크의 절반만 사용. .. 2023. 4. 8. 네트워크 포트 인터페이스명 확인방법, Mac address 확인방법 >>ip addr /// eno1, eno2 -> 인터페이스 명. /// Link/ether -> 뒷 부분 주소 = mac address @@:@@:@@:@@:@@:@@ 구조 2023. 4. 7. UBUNTU 18.04 : 자동 업데이트 끄기. >>/etc/apt/apt.conf.d/20auto-upgrades APT::Periodic::Update-Package-Lists "1"; -> APT::Periodic::Update-Package-Lists "0"; ///변경 2022. 11. 2. LINUX 부팅시, Run level 변경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 ////runlevel 3 : GUI X, CLI 환경사용. *LINUX 사용시, GUI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일 때, GUI 없는 CLI, runlevel 3로 고정할 수 있다. Ubuntu의 경우 18.04부터 카드출력이 아닌 온보드 VGA 출력의 경우, 비디오 램부족으로 인해, 화면 끊킴이 발생한다. CLI로 처음 접속했을때, 카드출력이 아닌 경우 다음과 같은 옵션을 이용한 뒤 셋업한다.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runlevel 5 : GUI 환경 사용. *일반적인 runlevel (초기값) 2022. 10. 30. SSH 설치 접속.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openssh-server 설치. >>systemctl status sshd // sshd status확인. >>vim /etc/ssh/sshd_config // sshd config파일 수정. PermitRootLogin yes ssh root@###.###.###.###//MobaXterm등을 통해 활용가능 2022. 10. 20. Linux OS 정보 확인(OS버전,커널,아키텍쳐) >> cat /etc/*release* >> uname -r >> uname -a uname의 경우, Kernel 버전확인에 사용. >> arch 2022. 10. 19. 이전 1 ···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