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37

DAS와 NAS 그리고 SAN https://github.com/pjhwa/linux-engineers/wiki HomeContribute to pjhwa/linux-engineer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Github에서 본 질문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DAS (Direct-Attached Storage), NAS (Network-Attached Storage), 그리고 SAN (Storage Area Network)는 모두 데이터 저장 장치의 유형이지만, 그들의 구조, 사용 사례, 연결 방식에 따라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1. DAS (Direct-Attached Storage)정의: DAS는 서버나 컴퓨터에 직접 연결된 저장 장치입니다. 일반적으로 USB.. 2024. 7. 29.
FUSE와 전통적인 파일시스템의 차이는? https://github.com/pjhwa/linux-engineers/wiki HomeContribute to pjhwa/linux-engineer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Github에서 본 질문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FUSE(Filesystem in Userspace)와 커널 공간에서 운영되는 전통적인 파일시스템 간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성능 차이를 제외하고라도 FUSE가 쓸만한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 방식의 특성과 용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FUSE와 전통적인 파일시스템의 차이점운영 위치FUSE: 사용자 공간(User Space)에서 파일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즉, .. 2024. 7. 28.
X86서버 x86 서버는 x86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서버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x86 아키텍처는 Intel이 처음 개발한 32비트 및 64비트 명령어 세트로, 현재 많은 서버, 데스크탑,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x86 서버에 대한 주요 특징과 장점입니다.x86 서버의 특징호환성: x86 아키텍처는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다양한 운영 체제와 소프트웨어가 호환됩니다. Windows, Linux, BSD 등 다양한 OS를 지원합니다.성능: 최신 x86 프로세서는 고성능을 자랑하며, 멀티코어 및 멀티스레딩 기술을 통해 높은 처리 속도를 제공합니다.확장성: x86 서버는 여러 슬롯을 통해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카드 등을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가격 효율성: 일반적으로 x86 서버는 다른 아키텍.. 2024. 7. 28.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란?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는 전자 메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주로 이메일 서버 간의 메시지 전송을 담당하며,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이메일을 보내는 데도 사용됩니다. SMTP는 간단한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로, 명령과 응답을 통해 이메일을 전송하고 라우팅합니다.주요 특징포트 번호: 기본적으로 25번 포트를 사용하며, 보안 전송을 위해 587번 포트(STARTTLS를 통한 암호화) 또는 465번 포트(SSL/TL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텍스트 기반 프로토콜: 명령과 응답이 텍스트 형식으로 이루어져 이해하고 디버깅하기 용이합니다.서버 간 전송: 주로 메일 서버 간에 이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클라이언트-서버 전송: 클라이언트에서 이메일을 .. 2024. 7. 27.
원격접속의 종류 원격 접속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에 접속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다양한 원격 접속 방식이 있으며, 각 방식은 고유한 장점과 사용 사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원격 접속 방식들의 개요입니다.1. Telnet특징: 텍스트 기반의 프로토콜로, 원격 시스템에 터미널 세션을 제공.보안: 암호화되지 않은 평문 텍스트 전송, 보안 취약.사용 사례: 초기 네트워크 장비 설정 및 관리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2. SSH (Secure Shell)특징: 텍스트 기반의 암호화된 프로토콜, 안전한 터미널 세션 제공.보안: 강력한 암호화, 공개 키 인증 지원.사용 사례: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의 안전한 원격 관리.3. RDP (Remote Desktop Protocol).. 2024. 7. 26.
Telnet과 SSH Telnet과 SSH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가지 프로토콜입니다. 주요 차이점, 장점 및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Telnet특징포트 번호: 23보안: 암호화되지 않은 평문 텍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사용 목적: 주로 초기 네트워크 장비 및 시스템의 원격 관리용으로 사용되었습니다.설정 및 사용의 용이성: 설정이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우며, 다양한 장비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됩니다.장점간단함: 구현 및 사용이 쉽습니다.호환성: 많은 구형 장비와 호환됩니다.단점보안 취약성: 암호화가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가 도청될 수 있습니다.인증 방식: 안전하지 않은 평문 인증 방식을 사용합니다.SSH (Secure Shell)특징포트 번호: 22보안: 데이터 전송, 인증 및 명.. 2024.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