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37 Docker 컨테이너 생성/진입 후 OS 정보 확인. >> cat /etc/*release -> 기본OS : Ubuntu 23.04 >> docker pull centos >> docker run --name centos-latest --hostname centos-latest -it -d centos >> docker exec -it centos-latest /bin/bash >> cat /etc/*release ->Docker에서 가져온 Centos image*latest의 버전은 8.4 >> exit >> docker pull centos:7 >> docker run --name centos-latest --hostname centos-latest -it -d centos >> docker exec -it centos-latest /bin/bash >.. 2023. 11. 20. Docker 기본 커맨드 # docker pull centos:7 centos7 이미지 내려받기. # docker images 이미지 현황 # docker run --name ccc --hostname cccc -it -d centos:7 * *-- name : ccc 컨테이너 이름 지정 * *-- hostname : cccc이름의 호스트 이름 지정 * -i : 컨테이너의 표준 입력 stdin 을 활성화. * -t : tty 가상 터미널 할당 * -d : 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로 실행. - centos:7 centos7버전 컨테이너 생성 # docker ps -a 컨테이너 현황 # docker exec -it ccc /bin/bash /bin/bash 이용 ccc 진입 # docker start ccc 컨테이너 ccc 시작(백그라.. 2023. 11. 20. Docker image 업로드 방법. ***업로드 사전에 docker 페이지에서 레포지터리를 별도로 생성해줘야 함. ***본 문서는 실습 예제로 작성해봤습니다. >>docker pull centos:7 ///docker image download centos7버전. >>docker run --name centos --hostname centos7 -it -d centos:7 /// 컨테이너 생성 ///- 컨테이너 이름 : centos ///- host name : centos7 ///- image centos:7 사용. ///- it 직접적인 텍스트환경(?) ///-d 백그라운드실행 >>docker exec -it centos /bin/bash ///centos 컨테이너 /bin/bash이용 진입 >>exit ///컨테이너 환경 빠져나오기... 2023. 11. 20. 바이너리 파일.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A7%84_%ED%8C%8C%EC%9D%BC 이진 파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텍스트가 아닌, 0과 1의 이진수형태로 작성된 파일. 사람보다 컴퓨터가 저장과 처리 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작성된 파일. 기계간 소통을 위한 기계어로 생각될 수 있으나, '기계어=바이너리파일' 은 틀리다. 기계어가 바이너리 파일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이너리 파일 전체가 기계어는 아니다. 2023. 11. 16. ACS란? :; Access Control Servicehttps://liujunming.top/2019/11/24/Introduction-to-PCIe-Access-Control-Services/ Introduction to PCIe Access Control Services - L本文将介绍下PCIe中的 ACS。 Access Control Services(ACS) Address Translation Service(ATS) 1. Background The PCIe specification allows for peer-to-peer transactions.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and even desirable in some cases for one PCIe endpoiliujunm.. 2023. 11. 13. 공유기와 스위치의 구분. NAT와 DHCP. 스위치의 경우, NAT와 DHCP기능이 없음. 공유기의 경우에는 NAT와 DHCP 기능이 있음. 스위치대비, 공유기는 IP 자동 할당 기능이 가능. 스위치를 사용하는 현장에서는 고정 IP 사용. NAT내용정리: https://namu.wiki/w/NAT NAT - 나무위키 일반 PC나 서버에서 NAT를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들이다. Internet Connection Sharing (ICS): Microsoft Windows에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NAT와 DHCP 기능을 한다.Routing and Remote Access Service (RRAS): Microsoft Win namu.wiki 2023. 11. 12.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40 다음 반응형